홈 > 한솔도서 > 한국산업인력공단 > 안전관리분야
[1권]
제1과목 산업재해 예방 및 안전보건교육
주요항목 01 산업재해예방 계획수립
세부항목 (1) 안전관리(安全管理 : safety management) 1-2
1. 안전과 위험(危險)의 개념 1-2
2. 안전 용어 정의 1-4
3. 안전보건관리 제(諸)이론 1-7
4. 생산성과 경제적 안전도 1-8
5. 재해예방활동기법 1-10
6. 위험예지활동 1-12
7. KOSHA GUIDE(안전보건기술지침) 1-17
8. 안전보건예산 편성 및 계상 1-18
9. 안전 관련 역사 1-21
세부항목 (2) 안전보건관리 체제 및 운용 1-23
1. 안전보건관리조직 구성 1-23
2. 산업안전보건위원회 운영 1-25
· 출제예상문제 1-33
주요항목 02 산업재해 조사 및 관리
세부항목 (1) 재해(災害 : accident)조사 1-52
1. 재해조사의 목적 1-52
2. 재해의 원인분석 및 조사기법 1-53
3. 재해(사고)조사방향 1-54
4. 재해(사고)조사시의 유의사항 1-54
세부항목 (2) 산재분류 및 통계분석 1-55
1. 산재분류의 이해 1-55
2. 산업재해발생의 mechanism(형태) 3가지 1-56
3. 재해 법칙 1-56
4. 산업재해발생 조치순서 1-57
5. 미국의 PDCA법 1-58
6. 하인리히 산업재해예방의 4원칙 1-58
7. 하인리히 사고예방대책 기본원리 5단계 1-58
8. 재해관련 통계의 종류 및 계산 1-66
9. 재해손실비의 종류 및 계산 1-68
세부항목 (3) 안전점검·검사·인증 및 진단 1-72
1. 안전점검(安全點檢 : safety inspection)의 정의 및 목적 1-72
2. 안전점검의 종류 1-73
3. 안전점검표 작성 1-74
4. 안전인증 1-77
5. 자율안전확인대상 1-79
6. 안전진단 및 안전검사 1-81
· 출제예상문제 1-84
주요항목 03 안전보호구 관리
세부항목 (1) 보호구 및 안전장구 관리 1-102
1. 보호구의 개요 1-102
2. 보호구 선택시의 유의사항 1-102
3. 안전인증보호구 1-102
4. 안전인증 기관의 확인 1-103
세부항목 (2) 보호구의 종류별 특성, 성능기준 및 시험방법 1-104
1. 안전모 1-104
2. 안전대 1-105
3. 호흡용 보호구 1-107
4. 보안경 1-108
5. 안전화 1-109
6. 보호면 1-109
7. 방음보호구 적용범위 1-110
세부항목 (3) 안전보건표지의 종류·용도 및 적용 1-111
1. 산업안전보건표지 종류 1-111
2. 안전보건표지판의 크기 및 표준기준 1-112
3. 안전보건표지의 종류와 형태 1-113
세부항목 안전보건표지의 색채 및 색도기준 1-114
· 출제예상문제 1-116
주요항목 04 산업안전심리
세부항목 (1) 산업심리와 심리검사 1-124
1. 심리검사의 종류 1-124
2. 인사관리의 중요기능 1-124
3. 인간관계의 기제(메커니즘:mechanism) 1-125
4. 인간관계 관리방법 1-126
5. 모랄 서베이(morale survey) 1-127
6. 양립성[일명 모집단 전형(兩立性 : compatibility)] 1-127
세부항목 (2) 작업적성과 배치 1-128
1. 직업적성의 분류 1-128
2. 성격검사 유형 1-130
3. 사고발생 경향 및 기제 1-131
세부항목 (3) 인간의 특성과 안전과의 관계 1-134
1. 안전사고 요인 1-134
2. 착상심리 1-134
3. 직무분석 1-136
· 출제예상문제 1-138
주요항목 05 인간의 행동과학
세부항목 (1) 조직과 인간행동 1-148
1. 안전심리 및 사고요인 1-148
세부항목 (2) 재해 반발성 및 행동과학 1-150
1. 재해설 1-150
2. 동기 및 욕구이론 1-151
세부항목 (3) 생체리듬과 피로 1-154
1. 스트레스 및 RMR 1-154
2. 피로(fatigue) 1-155
3. 생체리듬(biorhythm) 1-159
세부항목 (4) 집단관리와 리더십 1-161
1. 집단관리 1-161
2. 욕구저지 이론 1-162
3. 욕구저지 반응기제에 관한 가설 1-163
4. 리더십(leadership) 1-163
세부항목 착오와 실수 1-167
1. 착시(Optical illusion) 1-167
2. 인간의 주의특성 1-169
3. 부주의 1-172
· 출제예상문제 1-175
주요항목 06 안전보건교육의 내용 및 방법
세부항목 (1) 교육의 필요성과 목적 1-187
1. 교육목적 1-187
2. 교육의 개념 1-188
세부항목 (2) 안전보건교육계획수립 및 실시 1-189
1. 안전보건교육 계획 1-189
2. 안전보건교육의 기본방향 1-189
세부항목 (3) 교육방법 1-191
1. 교육 훈련 기법 1-191
2. 학습목적의 3요소 1-193
3. 안전보건교육방법(O.J.T, OFF.J.T) 1-194
세부항목 (4) 교육실시 방법 1-196
1. 토의식과 강의식 교육 1-196
2. 관리감독자 교육 1-198
3. 교육심리학(Educational Psychology)의 이해 1-200
세부항목 교육내용 1-204
1. 안전보건교육의 3단계 및 진행 4단계 1-204
2. 안전보건교육 교육대상별 교육내용 및 시간 1-205
3. 안전보건관리책임자 등에 대한 교육시간 1-214
4. 검사원 성능검사 교육 1-214
5. 특수형태근로종사자에 대한 안전보건교육 1-215
6. 물질안전보건자료에 관한 교육내용 1-215
7. 교육훈련평가의 4단계(직접효과와 간접효과를 측정) 1-216
· 출제예상문제 1-217
주요항목 07 산업안전관계법규
세부항목 (1) 산업안전보건법 1-229
제1장 총칙 1-229
제2장 안전보건관리체제 등 1-1230
제3장 안전보건교육 1-231
제4장 유해·위험 방지 조치 1-232
제5장 도급 시 산업재해 예방 1-232
제6장 유해·위험 기계 등에 대한 조치 1-234
제7장 유해·위험물질에 대한 조치 1-236
제8장 근로자 보건관리 1-237
제9장 산업안전지도사 및 산업보건지도사 1-238
제10장 근로감독관 등 1-238
제11장 보칙 1-239
제12장 벌칙 1-240
부칙[법률 제20677호, 2025. 1. 21] 1-240
세부항목 (2) 산업안전보건법 시행령 1-241
제1장 총칙 1-241
제2장 안전보건관리체제 등 1-242
제3장 안전보건교육 1-246
제4장 유해·위험 방지 조치 1-247
제5장 도급 시 산업재해 예방 1-251
제6장 유해·위험 기계 등에 대한 조치 1-255
제7장 유해·위험물질에 대한 조치 1-257
제8장 근로자 보건관리 1-258
제9장 산업안전지도사 및 산업보건지도사 1-259
제10장 보칙 1-259
제11장 벌칙 1-260
부칙[대통령령 제35597호, 2025. 6. 20.] 1-260
산업안전보건법, 영·규칙 별표 1-261
세부항목 (3) 산업안전보건법 시행규칙 1-273
제1장 총칙 1-273
제2장 안전보건관리체제 등 1-274
제3장 안전보건교육 1-275
제4장 유해·위험 방지 조치 1-276
제5장 도급 시 산업재해 예방 1-281
제6장 유해·위험 기계 등에 대한 조치 1-284
제7장 유해·위험물질에 대한 조치 1-286
제8장 근로자 보건관리 1-288
제9장 산업안전지도사 및 산업보건지도사 1-291
제10장 근로감독관 등 1-291
제11장 보칙 1-292
부칙[제443호, 2025. 5. 30.] 1-292
· 출제예상문제 1-310
제2과목 인간공학 및 위험성 평가·관리
주요항목 01 안전과 인간공학
세부항목 (1) 인간공학(Ergonomics)의 정의 2-2
1. 정의 및 목적 2-2
2. 배경 및 필요성 2-4
3. 작업관리와 인간공학 2-5
4. 사업장에서의 인간공학 적용분야 2-5
세부항목 (2) 인간-기계체계 2-6
1. 인간-기계 시스템의 정의 및 유형 2-6
2. 시스템의 특성 2-7
3. 인간과 기계의 기능 비교 2-10
세부항목 (3) 체계설계와 인간요소 2-12
1. 목표 및 성능명세의 결정 2-12
2. 기계설비 고장유형 2-12
3. 인간-기계(man-machine) 시스템의 신뢰도 2-13
4. 설비의 신뢰도 2-14
5. 신뢰도 개선(改善) 및 설계 2-17
6. 감성공학(感性工學 : image engineering) 2-18
세부항목 (4) 인간요소와 휴먼에러 2-19
1. 인간실수의 분류 2-19
2. 형태적 특성 2-20
3. 인간실수 확률에 대한 추정기법 2-21
4. 인간실수 예방기법 2-22
· 출제예상문제 2-24
주요항목 02 위험성 파악·결정
세부항목 (1) 위험성 평가 2-36
1. 위험성 평가의 정의 및 개요 2-36
2. 평가대상 선정 2-37
3. 평가항목 2-41
4. HAZOP 위험관리 절차 2-42
5. 관련법에 관한 사항 2-44
6. 보전성공학 2-48
7. 공정안전보고서의 세부 내용 등 2-51
8. 인간실수 확률에 대한 추정기법 적용 2-52
9. 인간에러(Human Error) 2-54
세부항목 (2) 시스템 위험성 추정 및 결정 2-56
1. 시스템 위험성 분석 및 관리 2-56
2. 위험분석기법 2-57
3. 결함수[FTA(故障樹木 : fault tree)] 분석 2-67
4. 정성적, 정량적 분석 2-79
5. 신뢰도 계산 2-83
6. 인간에러(human error)예방대책 2-84
· 출제예상문제 2-85
주요항목 03 위험성 감소 대책 수립·실행
세부항목 (1) 위험성 감소 대책 수립 및 실행 2-103
1. 위험성 개선대책(공학적·관리적)의 종류 2-103
2. 허용가능한 위험수준 분석 2-105
3. 감소대책에 따른 효과 분석 능력 2-105
· 출제예상문제 2-108
주요항목 04 근골격계질환 예방관리
세부항목 (1) 근골격계 유해요인 2-111
1. 근골격계 질환의 정의 및 유형 2-111
2. 근골격계부담작업(고용노동부 고시 제2020-12호) 2-112
세부항목 (2) 인간공학적 유해요인 평가 2-113
세부항목 (3) 근골격계 유해요인 관리 2-114
1. 작업관리(유해요인 조사) 목적 2-114
2. 방법 연구 및 작업 측정 2-114
3. 문제 해결 절차 2-115
4. 작업개선안의 원리 및 도출방법 2-116
· 출제예상문제 2-117
주요항목 05 유해 요인 관리
세부항목 (1) 물리적 유해요인 관리 2-124
1. 물리적 요인(Physical Agents) 파악 2-124
2. 화학물질 및 물리적 인자의 노출기준 2-136
3. 물리적 유해요인 관리대책 수립 2-138
세부항목 (2) 화학적 유해요인 관리 2-140
1. 화학적 유해요인 파악 2-140
2. 화학적 유해요인 노출기준 2-141
3. 화학적 유해요인 관리대책 수립 2-141
세부항목 (3) 생물학적 유해요인 관리 2-142
1. 생물학적 요인(Biological Agents) 파악 2-142
2. 생물학적 유해요인 등 노출기준 2-143
3. 생물학적 유해요인 관리대책 수립 2-146
· 출제예상문제 2-149
주요항목 06 작업환경 관리
세부항목 (1) 인체계측 및 체계제어 2-158
1. 인체계측 및 응용원칙 2-158
2. 신체반응의 측정 2-159
세부항목 (2) 신체활동의 생리학적 측정법 2-160
1. 신체반응의 측정(작업의 종류에 따른 측정방법) 2-160
2. 부품(공간)배치의 4원칙 2-161
3. 의자의 설계원칙 2-161
세부항목 (3) 작업공간 및 작업자세 2-162
1. 개별작업공간(work space) 설계지침 2-162
2. 활동분석 2-162
3. display가 형성하는 목시각(目視角) 2-163
세부항목 (4) 작업측정 2-164
1. 기계설계 진행방법 2-164
2. 신체부위의 운동 2-166
세부항목 작업환경과 인간공학 2-167
1. 열교환과정과 열압박 2-167
2. 실효온도 및 OXford지수 2-167
3. 이상환경 및 노출에 따른 사고와 부상 2-168
4. 통제표시비 2-175
5. 표시장치 및 제어장치 2-177
6. 양립성(compatibility) 2-179
7. 수공구(手工具) 2-179
8. 사무/VDT작업설계 및 관리 2-181
세부항목 중량물 취급 작업 2-188
1. 중량물 취급 방법 2-188
2. NIOSH Lifting Equation 2-191
· 출제예상문제 2-192
[2권]
제3과목 건설재료
주요항목 01 건설재료(建設材料) 일반
세부항목 (1) 건설재료의 발달 3-2
1. 구조물과 건설재료 3-2
2. 건설재료의 생산과 발달과정 3-3
세부항목 (2) 건설재료의 분류 및 특성 3-4
1. 건설재료의 분류 3-4
2. 건설재료의 특성 3-5
3. 새로운 재료 및 특성 3-5
세부항목 (3) 불연성재료의 분류 및 성능 3-6
1. 불연, 준불연, 난연재료의 종류 3-6
2. 불연, 준불연, 난연재료의 성능 3-6
세부항목 (4) 건설현장 유해·위험물질 관리 3-7
1. 건설현장 유해·위험물질 파악 3-7
2. 건설현장 유해·위험물질 관련 정보제공 3-8
3. 건설현장 유해·위험물질 관리 3-8
4. 건설현장 유해·위험물질 사고 대응 3-9
5. 유해위험물질의 종류 및 성능 3-10
주요항목 02 각종 건설재료의 특성, 용도, 규격에 관한 사항 - 목재
세부항목 (1) 목재 일반 3-12
1. 목재의 장점 3-12
2. 목재의 단점 3-12
3. 목재의 분류 3-13
4. 목재의 조직 3-13
5. 벌목, 제재, 건조 3-16
6. 목재의 성질 3-18
7. 목재 제품 3-27
세부항목 (2) 집성목재 3-29
1. 개 요 3-29
2. 집성목재의 장점 3-30
세부항목 (3) 마루판 3-30
1. 마루판(Flooring)의 개요 3-30
2. 종 류 3-30
세부항목 (4) 벽, 천장재 3-31
1. 코펜하겐 리브(Copenhagen rib) 3-31
2. 코르크판(Cork board) 3-32
3. 파티클 보드 3-32
세부항목 섬유판 3-32
1. 개 요 3-32
2. 연질섬유판 3-33
3. 텍스(Tex) 3-33
4. 경질섬유판 및 반경질섬유판 3-33
5. 소음 방지 방법 3-34
· 출제예상문제 3-35
주요항목 03 각종 건설재료의 특성, 용도, 규격에 관한 사항 - 시멘트 및 콘크리트
세부항목 (1) 시멘트 3-39
1. 개요 및 연혁 3-39
2. 시멘트의 분류 및 제법 3-40
3. 성분 및 반응 3-42
4. 시멘트의 강도 3-43
5. 혼화재료 3-44
세부항목 (2) 시멘트 제품 3-46
1. 시멘트벽돌 3-46
2. 시멘트블록 3-46
3. 기 와 3-47
4. 후형 슬레이트(가압 시멘트기와) 3-47
5. 목모 시멘트판 3-48
6. 목편 시멘트판 3-48
7. 석면 시멘트판류 3-48
8. 석면 시멘트관 3-49
9. 철근 콘크리트관 3-49
10. 철근 콘크리트말뚝 3-49
11. 철근 콘크리트기둥(Pole) 3-50
12. 프리스트레스트 제품 3-50
13. ALC 제품 3-50
세부항목 (3) 콘크리트 3-51
1. 개 요 3-51
2. 재 료 3-51
3. 강 도 3-52
4. 콘크리트 시공법 3-54
5. 콘크리트의 기타 성질 3-55
6. 특수 콘크리트 3-56
7. 콘크리트 시험 3-60
8. 블리딩과 레이턴스 3-63
· 출제예상문제 3-64
주요항목 04 각종 건설재료의 특성, 용도, 규격에 관한 사항 - 석재 및 점토
세부항목 (1) 석 재 3-70
1. 석재의 조직 및 분류 3-70
2. 석재의 종류 및 특징 3-72
3. 석재의 성질 3-74
세부항목 (2) 석재 제품 3-75
1. 제품의 종류 및 특징 3-75
세부항목 (3) 점토(Clay) 3-76
1. 개요 및 생성 3-76
세부항목 (4) 점토 제품 3-77
1. 분류 및 제법 3-77
2. 벽 돌 3-78
3. 기 와 3-80
4. 타 일 3-81
5. 테라코타(Terra-cotta) 3-82
6. 기타 점토 제품 3-82
7. 본드 브레이커(Bond breaker) 3-82
· 출제예상문제 3-83
주요항목 05 각종 건설재료의 특성, 용도, 규격에 관한 사항 - 금속재
세부항목 (1) 금속재 일반 3-90
1. 개 요 3-90
2. 금속의 특징 3-90
3. 철강의 분류 3-91
4. 강의 일반 열처리 3-92
5. 비철금속 3-92
세부항목 (2) 금속 제품 3-94
1. 구조용 강재 3-94
2. 구조용 긴결철물 3-96
3. 박판 선재 및 그 가공품 3-97
4. 구리판 및 황동판 3-98
5. 알루미늄판 3-98
6. 메탈라스(Metal lath) 3-98
7. 펀칭메탈(Punching metal) 3-98
8. 코너비드(Corner bead) 3-98
9. 기 타 3-99
· 출제예상문제 3-100
주요항목 06 각종 건설재료의 특성, 용도, 규격에 관한 사항 - 미장 및 방수재료
세부항목 (1) 미장재료 3-106
1. 개 요 3-106
2. 벽토의 종류 및 특징 3-106
3. 회반죽의 종류 및 특징 3-107
4. 시멘트 모르타르 3-109
5. 미장재료의 분류 3-109
세부항목 (2) 방수재료 3-110
1. 아스팔트 방수재료 3-110
2. 방수법 비교 3-112
· 출제예상문제 3-115
주요항목 07 각종 건설재료의 특성, 용도, 규격에 관한 사항 - 합성수지
세부항목 (1) 합성수지 일반 3-122
1. 종류 및 특징 3-122
세부항목 (2) 합성수지 제품 3-124
1. 바닥재료 제품 3-124
2. 플라스틱 제품 3-125
3. 합성수지계 접착제의 종류 및 특성 3-125
· 출제예상문제 3-127
주요항목 08 각종 건설재료의 특성, 용도, 규격에 관한 사항 - 도료, 접착제 및 기타재료
세부항목 (1) 도 료 3-132
1. 도 료 3-132
2. 페인트 3-132
3. 니 스(Vanish) 3-134
4. 옻과 감즙 3-134
5. 퍼티 및 코킹재 3-135
세부항목 (2) 접착제 및 기타재료 3-135
1. 동물성 접착제 3-135
2. 식물성 접착제 3-137
3. 수지계 접착제 3-138
4. 아스팔트 접착제 3-140
5. 유 리 3-140
6. 도장공사 3-141
7. 세라믹파이버(Ceramic Fiber) 3-143
8. 단열재 3-144
· 출제예상문제 3-146
제4과목 건설시공
주요항목 01 시공 일반
세부항목 (1) 공사시공방식 4-2
1. 건설시공의 의의 4-2
2. 공사관련자 및 업무 4-2
3. 도급업자의 분류 4-3
4. 견적의 종류 4-4
세부항목 (2) 공사계획 4-5
1. 공사계획의 개요 4-5
2. 공사계획내용 4-5
3. 공정표의 종류[(gantt)식 공정표] 4-6
4. 네트워크(network) 공정표 4-6
세부항목 (3) 공사현장관리 4-10
1. 건축시공 계약제도 4-10
2. 입찰 및 계약방식 4-14
3. 도급계약서 및 시방서 4-15
4. 품질관리 4-16
· 출제예상문제 4-17
주요항목 02 토공사
세부항목 (3) 흙파기 4-22
1. 흙파기의 일반사항 4-22
2. 흙파기 공법 4-23
3. 흙막이 공법 4-23
세부항목 (2) 토공기계 4-25
세부항목 (3) 흙막이 4-27
1. 흙막이에 미치는 토압 4-27
2. 흙막이의 종류 4-28
3. 토질시험의 종류 4-28
세부항목 (4) 기타 토공사 관련사항 4-29
1. 지반조사 4-29
2. 간극비, 함수비, 포화도 4-29
3. 지반조사방법 4-30
4. 배수·지반개량공법 4-31
· 출제예상문제 4-33
주요항목 03 기초공사
세부항목 (1) 지정 4-39
1. 지정의 종류 및 특징 4-39
2. 제자리 콘크리트말뚝 지정 4-42
세부항목 (2) 기초(Foundation) 4-44
1. 기초의 개요 4-44
2. 기초의 종류 4-44
· 출제예상문제 4-48
주요항목 04 철근 콘크리트공사
세부항목 (1) 콘크리트공사 4-52
1. 개요 4-52
2. 콘크리트 재료 4-53
3. 콘크리트 배합의 결정 4-55
4. 콘크리트 부어넣기 및 방법 4-58
5. 콘크리트 운반계획 4-59
6. 보양(양생) 4-60
7. 특수 콘크리트 4-61
8. 콘크리트 비벼내기량 산출법 4-65
세부항목 (2) 철근공사 4-66
1. 철근 재료 4-66
2. 철근이음 및 정착 4-67
3. 가스압접 4-68
4. 철근의 간격 및 피복두께 4-69
세부항목 (3) 거푸집공사 4-70
1. 개요 4-70
2. 거푸집 시공상 주의사항 4-71
3. 거푸집의 측압에 영향을 주는 요소 4-71
4. 거푸집 측압 4-72
5. 거푸집공법 4-72
6. 거푸집 존치기간 4-73
7. 거푸집 면적산출 4-75
8. 용어정의 4-75
· 출제예상문제 4-77
주요항목 05 철골공사
세부항목 (1) 철골작업 공작 4-87
1. 철골 일반 4-87
2. 리벳접합 4-89
3. 용접접합 4-90
세부항목 (2) 철골세우기 4-92
1. 기둥세우기 4-92
2. 세우기용 기계 4-92
3. 기초(Ancher)볼트 매입공법의 종류 4-93
4. 고력볼트(high tension bolt) 접합 4-94
· 출제예상문제 4-96
주요항목 06 조적공사
세부항목 (1) 벽돌공사 4-100
1. 시멘트벽돌 4-100
2. 붉은벽돌 4-100
3. 내화벽돌(Fire brick) 4-101
4. 적산방법 4-104
세부항목 (2) 블록공사 4-105
1. 치수 및 강도 4-105
2. 블록쌓기법 4-106
3. 각부 블록쌓기 4-106
4. 보강 콘크리트 블록 4-107
세부항목 (3) 석공사 4-108
1. 석재의 종류 및 특성 4-108
2. 석재의 강도 4-108
3. 내화성 4-108
4. 표면가공 마무리 순서 4-109
5. 돌쌓기 순서 4-109
6. 돌붙이기(대리석 붙이기) 4-109
7. 보 양 4-109
8. 줄눈 모르타르 4-109
세부항목 (3) 타일공사 4-110
1. 타일의 종류 4-110
2. 타일붙이기 4-110
3. 공 법 4-111
4. 강관 Pipe 구조 4-112
5. 가공순서 4-112
· 출제예상문제 4-114
제5과목 건설공사 안전관리
주요항목 01 건설현장 안전점검
세부항목 (1) 건설공사(建設工事) 특수성 분석 5-2
1. 안전관리 계획 수립 5-2
2. 공사장 작업환경 특수성 5-3
세부항목 (2) 안전관리 고려사항 확인 5-9
1. 건설현장 안전관리 5-9
2. 시공 및 재해사례 검토 5-10
· 출제예상문제 5-11
주요항목 02 건설현장 유해·위험요인 관리
세부항목 (1) 건설공사 유해·위험요인 파악 5-15
1. 유해·위험요인 선정 5-15
2. 안전보건자료(기준) 5-19
3. 유해위험 방지 계획서 5-20
세부항목 (2) 건설공사 위험성 추정·결정 5-22
사업장 위험성평가에 관한 지침 5-22
· 출제예상문제 5-35
주요항목 03 건설업 산업안전보건관리비 관리
세부항목 (1) 건설업 산업안전보건관리비 규정 5-37
건설업 산업안전보건관리비 계상 및 사용기준/대상액 작성요령/항목별 사용내역 5-37
· 출제예상문제 5-46
주요항목 04 건설현장 안전시설 관리
세부항목 (1) 안전시설(安全施設) 설치 및 관리 5-48
1. 추락(墜落 : 떨어짐) 방지용 안전시설 5-48
2. 붕괴(崩壞 : Collapse : 무너짐) 방지용 안전시설 5-55
3. 낙하, 비래(맞음) 방지용 안전시설 5-57
세부항목 (2) 건설공구 및 장비 안전수칙 5-60
1. 건설공구 5-60
2. 건설장비의 종류 및 안전수칙 5-61
3. 토공기계(earth-moving machine) 및 안전수칙 5-65
4. 운반기계(運搬機械 : conveying machinery) 및 다짐장비 등 안전수칙 5-69
· 출제예상문제 5-76
주요항목 05 비계·거푸집 가시설 위험방지
세부항목 (1) 건설 가시설물 설치 및 관리 5-87
1. 비계(飛階 : scaffold) 5-87
2. 작업통로 및 발판 5-98
3. 작업발판(walk plate) 설치기준 5-103
4. 안전망 설치기준 5-104
5. 거푸집 및 동바리 5-109
6. 흙막이(sheathing work) 5-117
· 출제예상문제 5-120
주요항목 06 공사 및 작업종류별 안전
세부항목 (1) 양중 및 해체공사 5-130
1. 양중공사시 안전수칙 5-130
2. 해체공사(demolition work)시 안전수칙 5-138
세부항목 (2) 콘크리트 및 PC공사 5-146
1. 콘크리트공사(concrete works)시 안전수칙 5-146
2. 콘크리트 측압 5-150
3. 철골공사 안전 5-153
4. PC공사시 안전수칙 5-169
세부항목 (3) 운반 및 하역작업 5-171
1. 운반작업(運搬作業 : transportation) 시 안전수칙 5-171
2. 하역작업(荷役作業 : cargo work)시 안전수칙 5-182
· 출제예상문제 5-194
부록 찾아보기
[3권]
부 록 과년도 출제문제
· 2023년도 기사 정기검정
2023년도 기사 정기검정 제1회 (2023년 02월 28일 시행) 4
2023년도 기사 정기검정 제2회 (2023년 06월 04일 시행) 36
2023년도 기사 정기검정 제4회 (2023년 09월 02일 시행) 67
· 2024년도 기사 정기검정
2024년도 기사 정기검정 제1회 (2024년 02월 15일 시행) 100
2024년도 기사 정기검정 제2회 (2024년 05월 09일 시행) 134
2024년도 기사 정기검정 제4회 (2024년 07월 05일 시행) 168
· 2025년도 기사 정기검정
2025년도 기사 정기검정 제1회 (2025년 02월 07일 시행) 204
2025년도 기사 정기검정 제2회 (2025년 05월 10일 시행) 238
2025년도 기사 정기검정 제4회 (2025년 08월 09일 시행) 273